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질문이 있습니다
작성자 : 나는야왕중왕 작성일 : 2024-05-08 20:07:56 No : 167943
작성자 : 나는야왕중왕 작성일 : 2024-05-08 20:07:56 No : 167943
교재명 | 2023 전기기사 필기 이론서 | 페이지 | 111 |
---|---|---|---|
번호/내용 | 00 | 강사명 | 남민수 |
문제풀이를 진행 중 1차측과 2차측 전압이 주어졌을 때, (예를들어 200/100V 등으로) 이 100V란 것이 첨부파일에 나타난 권선에 걸리는 전압일 경우도 있는 한편, 부하에 걸리는 전압이라고 해설되는 문제들도 있습니다. 권선에 걸리는 전압과 부하에 걸리는 전압 사이엔 중간에 전기자 저항등으로 차이가 존재하는데 별다른 조건이 주어지지 않으면 어디를 기준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이 개념을 그대로 적용시킬 시, 첨부파일 2의 질문과 연결됩니다. 첨부파일 2의 내용은 권수비를 고려할 때 전기자 저항등을 무부하상태에서 해석함으로서 무시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무부하시가 아닐 경우, 부하가 있는 경우 2차측 전압(예를들어 100V)이 주어졌을 때 이 100V를 부하쪽 단자전압으로 해석하냐, 2차측 권선에 걸리는 전압으로 해석하냐에 따라 답이 다르게 됩니다. 권수비 계산문제의 경우 문제에서 200/100V로 주어지면 1차측 E가 200, 2차측 E가 100이라 두고 계산했는데 결론적으로 주어진 100V를 E 양단에 걸리는 전압으로 해석하는게 맞는지 V양단에 걸리는 전압으로 해석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Comments
본문에 대한 댓글을 남기는 공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