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작성자 : 전기쟁이 작성일 : 2022-03-16 13:16:55 No : 3427
안녕하세요 뭔가 이해가 안되는게 있어 질문올립니다.
① 직류전동기의 출력(부하)에 왜 역기전력 E를 갖다 붙인 것인지 궁금합니다.
② 그리고 아래 글을 근거하여 E(역기전력) 보다는 V'(부하에 걸리는 전압)라고 기호하는 것이 더 어울리다고 생각합니다.
역기전력은 '전동기가 힘을 받아 회전하는 경우, 그 힘에 의하여 발전기와 같은 기전력을 발생하는데..
이 때 발생하는 기전력은 모터에 입력되는 전압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운전 중일 때의 역기전력은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해 주는 역할을 하므로, 안전을 위한 필요한 요소이기도 하구요
발전기의 입력과 출력, 전동기의 입력은 모두 그곳에서의 전압입니다.
하필, 유독 위에 언급한 것을 제외한 전동기의 출력은 왜 역기전력이라고 가르치고 있죠??
역기전력은 입력전압의 방해요소, 안전요소로 작용할 뿐 그곳만의 전압은 아니지 않습니까?
따라서 전동기의 출력[V(입력전압) - E(역기전력) = V'(부하에 걸리는 전압)]
그곳만의 전압 V' 또는 좀더 어울리는 기호하는게 더 어울리다고 생각듭니다
③ 또 제가 알고 있는 역기전력 개념과 특성을 이렇게 이해하고 있는데 맞는지 부탁드려요
제가 알고있는 역기전력을 비유하자면
[앞으로 빠르게 달리고 있는 자동차, 자동차를 이끌게 하는 힘(입력전압), 공기저항(역기전력)]
이렇게 개념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또 역기전력은 전동기의 회전속도에 따라 증가하게 되고,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할 경우 역기전력과 전동기의 입력전압이 같아져 전류가 매우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가 작아지면 고정자의 자속↓ 토크↓. 결국 전동기를 가속하는데 한계가 발생하여 속도에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고 알고있습니다.
전동기 가속 한계점을 지수 100으로 표현한다면 아래 사진과 같이 이해하고 있습니다
①②③ 번호 순서에 맞게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