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결선도, 변류비, 용어
작성자 : 공사기사 합격!      작성일 : 2020-10-19 14:48:17      No : 1091

1.문제에 자주 헷갈리는 부분인데 특고압 수전 설비 표준 결선도를 그릴때 OCR,OCGR를 그릴때 동그라미안에 작성해야되나요 직사각형 안에 작성하여 결선도를 그려야되는건가요?


2. 변류기를 구할때 어디서 본건지 기억은 안나는데 변류기전류 공식으로 전류를 구하고 1.25~ 1.5를 항상곱해서 구하는건데

 그렇게 곱했더니 대략 1260A~1511A(1512A인가?) 대략이런값이 나왔는데 변류비를 1500/5로 구했다가 틀렸어요 1200/5A가 답이다고 했는데 이런 애매한 부분에서는 어떻게 해야되는건간요?


3. 볼아이랑 볼쇄클을 어떤상황일때 쓰는건가요? 

   제가 생각하기엔 볼아이는 앞에 지선밴드가 연결되있을때 볼쇄클은 경완철이 연결되있을때 쓰는건가요?

    볼 크래비스랑 볼쇄클이랑은 다른건가요?


4. 접지동봉이랑 접지봉이랑 같은 말 인가요

Comments 본문에 대한 댓글을 남기는 공간입니다.
  • 박정호 2020-10-20 14:36:52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작성 기준을 먼저 말씀드면 계전기는 네모, 계측기는 동그라미로 작성합니다.
    다만 과년도나 내선규정의 표기를 보면 크게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계전기에 대하여 교재와 같이 그리셔도 되고 네모로 그리셔도 됩니다.

    2. 말씀드린 사항을 바탕으로 문제를 찾아봤습니다. 2005년도 2회, 4번 문제로 보입니다.
    만일 해당 문제를 기억하시고 질문주신 것이라면 문제의 정격 표에 나온 최댓값이 1200A가 됩니다.
    그래서 1200/5A를 선정해줘야 하겠습니다.

    혹여, 이러한 사항이 없이 1500과 1200중 골라야 하는 문제였다면 해당 문제를 첨부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첨부해주신 사진, 문제를 바탕으로 다시 답변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3. '아이'는 볼트, 너트가 없고 끼우는 구멍이 있습니다. 그 구멍에 장비를 연결체결하는 구조로 되어있고,
    '쇄클'은 볼트와 너트가 있어 그 사이에 완금을 체결하여 사용합니다.
    앞에붙은 '볼'은 체결하는 부분이 동그랗게 되어있기 때문에 볼이라고 이름을 붙여주게 됩니다.

    좀 더 직관적으로 설명드리면 볼아이는 지선밴드 체결하는 사이에 끼워서 사용하게되고,
    볼쇄클은 완금(경완철)에 체결해서 사용하게 되겠습니다. 생각하신대로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4. 탄소접지봉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는 접지봉과 접지동봉은 같다고 할 수는 없겠으나
    실무현장에선 주로 동봉을 사용하기 때문에 접지동봉을 접지봉이라 부르게 됩니다.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