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후기
작성자 : 강유진 작성일 : 2016-10-02 16:01:02 No : 1886
2016년 4회 전기공사기사 필기에 합격하였습니다.
사실 4회 전기공사기사 필기를 보기 전 3회 전기기사 필기를 보았었습니다.
전기기사 필기를 공부한 시간은 45일(한달 반)입니다. 6월 26일부터 준비하였고 중간에 허리가 아파서 일주일간 공부를 못하였습니다.
45일중 26일은 전기기사 인강을 들었습니다.
많은 전기인강 중에 다산에듀를 들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인강이 무료라 부담이 덜 했고 수업이 깔끔하고 원장님 수업이 머리속에 쏙 들어왔습니다. 주변에 많은 분들이 다산에듀로 듣고있었기 때문에 의심없이 선택하였습니다.
회로이론 41강, 제어공학 19강, 전기자기 31강, 전기기기 30강, 전기설비 13강으로 총 5과목이 134강으로 이루어져있는데 저는 처음에 이론을 공부 할 때 하루에 여러과목을 같이 공부하지 않고 한 과목씩 공부하였습니다.
회로이론->제어공학->전기자기->전기기기->전력공학->전기설비 순으로 하루에 6개-8개정도의 인강을 들었습니다.
회로이론은 기초이기에 먼저 들었고, 그 다음에는 어려운 과목 순으로 들었습니다. 전기설비는 법이라 외울 것이 많아 제일 나중에 배치하였습니다.
인강을 다 들은 후에는 A4용지에 개념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인강들은 것을 복습하고 정리하는데 10일정도가 걸렸습니다.
정리를 한 후에는 기출문제를 풀었는데 꼼꼼히 정리해서 그런지 점수가 합격점 이상이었습니다.
그리고 틀린 문제에 해당하는 개념을 A4용지에 빨간 펜으로 표시를 해서 틈날 때 마다 보았습니다.
이론을 정리하고 나서는 기출을 풀었습니다.
전기자기는 3개년, 9회치(2007년 전부, 2008년 전부, 2015년 전부)
전력공학은 3개년, 9회치(2007년 전부, 2008년 전부, 2015년 전부)
전기기기는 1개년, 4회치(2008년 3회, 2015년 1회, 2회,3회)
회로이론은 3개년, 9회치(2007년 전부, 2008년 전부, 2015년 전부)
전기설비는 4개년, 11회치(2012년 1,2회 2013년 전부, 2014년 전부, 2015년 전부)
10개년씩 푸시는 분들도 계신데 저는 그렇게 기출을 많이 풀지 않았습니다. 이론을 꼼꼼하게 했더니 기출 양은 별로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하루에 1회씩 10일정도 기출문제를 풀이하였습니다.
그런데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습니다. 제일 어렵게 나온 전기자기학이 90점이 나오고, 전력공학 70, 전기자기 60, 회로이론 80 까지 완벽한 점수였는데 전기설비에서 35점 한문제 차이로 과락이 나온 것이었습니다.
한 문제 차이로 어떻게 떨어지는 걸까 생각했는데 떨어지는 사람이 바로 나였구나 허탈했습니다.
문제점을 생각해보았습니다. 다른과목은 인강듣고 정리도 꼼꼼히 하였는데, 전기설비는 인강듣고 따로 A4로 정리하지도 않았으며, 법이 너무 어려워 이론은 하지 말고 기출만 돌리면 괜찮다고 생각해서 기출만 돌렸습니다. 그게 문제였습니다.
내 기본 실력이 아닌 기출에서 본 문제가 얼마나 나오는가에 따라 합격이 좌우되었고 운없게도 이번 시험에서 제가 풀었던 기출문제가 많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전기설비에서 20문제중 확실하게 아는문제가 총 7개 였는데 딱 7개만 맞았습니다. 모르는 13문제를 한 번호로 찍었으면 합격하는 거였는데 운도 지지리 없었고 센스도 없었네요.
그날 같이 본 전기산업기사는 전기설비가 55점이었습니다. 이로써 문제점이 확연히 드러났습니다.
전기기사 3회차가 불합격되고 전기기사는 1회, 2회, 3회에 실시하기 때문에 다음 전기기사 시험은 내년이 되야 볼 수 있었습니다.
공백기간이 너무 길고 그동안 공부한게 너무 아까웠습니다.
그래서 전기공사기사를 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전기공사기사는 1회, 2회, 4회에 실시하고 전기공사기사를 합격하면 전기기사 4과목이 면제가 됩니다. 또한 가고싶은 기업들이 전기공사기사에 큰 가산점 부여하기 때문에 어짜피 준비할 예정이었습니다.
전기공사기사는 전기기사 시험치고나서 일주일동안 쉬고나서 9월 부터 시작하였습니다.
전기기사: 회로이론.제어공학, 전기기기, 전력공학, 전기설비, 전기자기
전기공사기사: 회로이론.제어공학, 전기기기, 전력공학, 전기설비,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전기공사기사는 전기기사와 4과목이 겹치고 1과목만 다르기에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이론만 따로 공부하였습니다.
학교수업과 병행하여야 되서 그렇게 많은 시간을 쏟지는 못했습니다.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는 일주일중 4,5일, 2시간을 2주간 할애하여 이론을 정리하였습니다. 이 과목은 전기기기나 전력공학이나 전기설비 내용이 좀 들어가있어서 그리 어렵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쓰디쓴 아픔을 준 전기설비를 이론부터 제대로 공부하였습니다.
많은 표들을 확실하게 구분하여 외우고 또 외웠습니다.
따로 표를 그려서 표를 채워넣는 연습도 하였습니다.
시험 10일 전부터 전기공사기사 기출을 풀었습니다.
전기공사기사도 전기기사 처럼 기출을 그렇게 많이 풀지 않았습니다.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는 3개년, 9회치(2013년 전부, 2014년 전부, 2015년 전부)
전력공학은 2개년, 4회치(2012년 3회, 2013년 전부)
전기기기는 2개년, 4회치(2012년 3회, 2013년 전부)
회로이론은 2개년, 4회치(2012년 3회 2013년 전부)
전기설비는 2개년, 5회치(2012년 2,3회 2013년 전부)
시험보기 하루 전에는 기출이 아니라 다산에듀 이론책을 달달 읽었습니다.
시험보기 당일에는 2016년 2회 전기공사기사 필기 문제를 받아서 15분동안 전기응용이랑 전기설비를 눈으로 훑어보며 풀어봤는데 전기응용 70점, 전기설비 85점이었습니다. 합격할 수 있겠다라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시험시간은 2시간 30분이었고 저는 2시간만에 나왔습니다. 1시간만에 다풀고 1시간은 다시풀어보고 검산을 하였습니다.
시험장을 나서고 합격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75점
전력공학: 70점
전기기기: 70점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85점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90점
그리고 6시 큐넷 가채점결과 전기공사기사 평균 78점으로 합격하였습니다. 전기공사산업기사도 가뿐하게 합격하였습니다.
2016년 3회차 전기기사에서 35점 맞아서 과락했던 과목이 이론을 중점으로 했더니 2016년 4회차 전기공사기사에서는 90점으로 고득점을 맞았습니다.
기출이 아닌 다산에듀 책을 계속 복습하고 복습했던 덕입니다.
최종인 원장님께서 수업시간에 계속 말씀해주신 "기출보다 이론이 중요하다"라는 것을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필기를 공부하면서 느꼈습니다. 신출도 많이 늘어나고 있구요.
기출에 기대지 않고 기초실력을 키운다면 무슨 문제가 오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맞추고 합격하실 것 입니다!
저는 바로 4회 전기공사실기를 준비 할 예정입니다. 학교공부와 병행하기 쉽지 않겠지만 합격수기를 들고 찾아 뵙겠습니다.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를 준비하시는 분들께 합격기원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원장님께도 감사하단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